인도에서 발생한 코로나 XBB.1.16 변이가 전 세계로 빠르게 퍼지고 있는데, 우리나라에도 이미 들어왔다는 것이 확인됐다. 이 변이는 기존의 변이들과 달리 '눈병 증상’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위험하다.26일 방대본 임숙영 상황총괄단장은 "지난달 9일부터 국내에서 XBB.1.16 변이가 검출되기 시작했다"고 밝혔다.
현재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XBB.1.16 변이는 총 152건에 이른다.
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XBB.1.16은 ‘아크투루스’(Arcturus)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. 이 별명은 목동자리의 가장 밝은 별에서 따온 것이다. 이 변이는 1월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후 강력한 전파력으로 세계 곳곳으로 퍼졌다. 미국·인도·중국·싱가포르·호주·홍콩 등 최소 29개국에서 이 변이가 검출됐다. 특히 인도에서는 하루 확진자가 2월에는 100명대였는데 최근에는 1만 명대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.
이 변이에 감염된 사람들은 코로나의 일반적인 증상 외에도 결막염·안구충혈·눈 가려움증 등의 '눈병 증상’을 보인다고 한다.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눈가가 끈적거리는 등 더욱 심한 증상을 보인다고 전해졌다.
전파력도 매우 높다. 올해 초 미국을 강타했던 XBB.1.5는 ‘크라켄’(Kraken)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면역 회피력이 뛰어나 백신의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되었다. 이 변이는 당시 가장 강한 전파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. 그러나 XBB.1.16은 이보다 1.17∼1.27배 더 강한 전파력을 가지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. 세계보건기구(WHO)도 이 변이에 대해 경계하고 있다.
SCMP에 따르면 홍콩대 마이크 콴 얏와 교수는 "XBB.1.16 변이에 감염된 사람들과 접촉할 때는 눈병을 예방하기 위해 보안경 등을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"고 조언했다.
임 단장은 "오미크론 계열 변이는 새로운 변이가 나타날 때마다 면역 회피능력이 약간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XBB.1.16도 그렇다"며 "그러나 중증화되는 경우는 아직 없다"고 밝혔다.
0 댓글